본문 바로가기
세계 시사 인물 및 역사

세계의 도시 : 뉴욕(1)

by MYJets 2024. 1. 4.

지난 수 세기 동안 세계 1 등국으로 인정받고 있는 미국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는

차원에서, 오늘날 미국 뿐 아니라 세계 제1의 도시로 알려진 뉴욕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옛날 우리나라에서도 "사람은 한양으로, 말은 제주도로 보낸다"라는 말이

있듯이, 미국인들 사이에서도 "젊은 사람은 동부로, 뉴욕으로 가야 된다"라는

의식이 있는 듯 합니다. 이는 뉴욕이라는 도시가 미국의 젊은이는 물론 세계의

모든 젊은이들에게 얼마나 문화적, 경제적 또는 교육적인 면에서 매력적으로

어필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뉴욕(New York)

 

The Big Apple 또는 The City That Never Sleeps이라 불리는 뉴욕은 2022년 기준

약 8백3십만 명이 거주하는 미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로서 5개의 행정 구역

인 보로(boroughs)로 나뉩니다. 이들은 브롱스(Bronx), 브루클린(Brooklyn), 맨하튼

(Manhattan), 퀸스(Queens) 및 스태튼 아일랜드(Staten Island) 입니다. 뉴욕은 외교,

상업, 건강, 과학, 연구, 기술, 문화, 정치, 예술, 패션 및 스포츠 등 여러 부문에서 세계

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의 수도로 불리기도 합니다.

 

뉴욕은 세계에서 가장 큰 자연 항구중 하나이며, 미국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입니다. 또한 800개가 넘는 언어가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 인종, 문화가 공존

하는 도시로서, 3백만 명 이상의 이방인 (비 미국 출생자)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Reynaldo #briqworkz Briqantty
Reynaldo #brigworkz Briqantty

 

맨해튼 아래쪽에 위치한 금융 지역 월 스트리트(Wall Street)는 세계 금융과 핀텍

(fintech)을 주도하고 있으며, 또한 세계에서 가장 큰 증권 거래소인 뉴욕 증권 거래소

(New York Stock Exchange)와 나스닥(Nasdaq)이 소재하는 금융 자본 시장 역할

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에서 생활비가 가장 비싼 도시이며, 억만장자(billionaires)

가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세계 제1의 부자 도시이기도 합니다.

 

뉴욕의 역사

뉴욕은 1524년 이탈리아인 Giovanni da Verrazzano와 1525년 포르투갈인 Estevao

Gomes가 탐험대를 이끌고 뉴욕항에 입국한 사건을 통하여 유럽에 알려지게 되었습

니다. 또한, 1609년 영국의 탐험가 Henry Hudson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로 가는 북서

항로를 개척하려는 와중에 뉴욕항을 재발견하였으며, 뉴욕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영토라 주장했습니다. 1613-1614년 겨울에 맨해튼에 도착한 산토 도밍고 출신의 Juan

Rodriguez는 네덜란드 식민지 대표 자격으로 현지 사람들과 산양 모피의 교역을 위해

뉴욕에 거주하게 된 최초의 비 미국인으로 기록되었습니다.

 

뉴욕항 근처에 유럽인의 정착촌이 건설된 것은 1624년이며, 이는 미국 대륙에서 유럽

인이 정착하고 소유한 12번째 정착촌이 되었습니다. 이듬해, 이들은 요새를 쌓고 Fort

Amsterdam 항을 건설하여 Nieuw Amsterdam이라 불렀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맨해튼

섬(Manhattan Island)입니다. 1626년 네덜란드 서인도회사를 대표하여 네덜란드 식민

지 총재가 된 Peter Minuit는 소규모 델라웨어족 무리인 Canarsie로부터 60 guilders

(2018년 기준 약 $900)를 주고 맨해튼을 사들였습니다. 1628년에는 정착민을 끌어들

이기 위해 후원 제도(patroon system)를 도입하였는데, 이 제도는 New Netherland에

50명의 정착민을 데려오는 부유한 네덜란드 후원자에게, 그에게 할당되는 토지 내에서

의 정치적 독립성을 보장하고 수익이 좋은 모피 무역에 참여할 권리를 부여하는 것입니

다. 이 제도는 큰 실효를 거두지는 못했습니다. 1639-1640년,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는

이 지역의 경제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모피 무역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포기하고, 음식,

목재, 담배, 노예 등의 무역을 장려하였습니다. 또한 그들은 법 제도를 개선하고, 술 판매

를 금지하였으며 또한 이교도(퀘이커교, 유대교 및 루터교)들이 자체 성소를 짓는 것을

금지하였습니다.

 

1664년,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 총재 Stuyvesant는 영국 장군 Richard Nicolls에게 항복

하고 New Amsterdam을 넘겨주었는데, 네덜란드 정착민들은 계속 지역에서 거주할 수

있었고 종교의 자유도 허용되었습니다. 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 승리한 네덜란드는,

1667년 영국과 브레다 조약(Treaty of Breda)을 맺고 남아메리카 북부 해안의 신흥 식민지

인 수리남을 영국으로부터 양도받고, 대신 New Amsterdam은 영국이 계속 점유할 수 있도

록 허용하였습니다. 이 새로운 영국인 정착지는 "New York"으로 개명되었고, 허드슨 강의

150 마일 북쪽에 위치한 Fort Orange 역시 Albany로 개명되었습니다. 1673년 8월 제3차

영국-네덜란드 전재에서 승리한 네덜란드는 뉴욕을 영국으로부터 빼앗았으나, 1674년 11

월 맺어진 웨스트민스터 조약에 의거하여 이를 다시 영국에게 되돌려주었습니다.

 

뉴욕은 1702년 한 해에만 인구의 10%를 황열병으로 잃는 등 점차로 인구가 감소하였으나,

18세기 초부터 주요한 무역항으로 성장하였습니다. 1730년대 뉴욕은 노예 시장의 중심지

가 되었으며, 대부분의 노예는 아프리카 출신으로서 집안일은 물론 항구, 은행 및 무역 등

에도 노예를 활용하여 경제를 발전시켰습니다. 1735년 식민지 통치자인 읠리엄 코스비를

비난했다는 이유로 명예 훼손으로 고발된 John Peter Zenger가 무죄 판결을 받음에 따라

북아메리카는 언론의 자유를 얻게 되었으며, 1754년에는 King George의 칙령에 따라 왕실

대학으로서 콜럼비아 대학이 맨해튼 남부에 설립되었습니다.

 

여기까지 뉴욕의 현황과 네덜란드 및 영국의 식민지 시대 하의 간략한 역사를 알아보았고,

다음 편부터는 미국의 독립 전쟁 이후의 뉴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