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Ming) 왕조 시대 (1368년 - 1644년)
명 왕조는 1368년 주 원장(Zhu Yuanzhang)에 의해서 건국되었는데, 그는 스스로를
홍우(Hongwu) 황제라 칭하였습니다. 수도는 난징(Nanjing)으로 시작하였으나, 후에
영락(Yongle) 황제 때 베이징(Beijing)으로 옮겼습니다.
인구의 증가 및 분업화가 고도화 됨에 따라 도시들이 번성하였습니다. 난징과 베이징
같은 거대 중심지를 중심으로 민간 부문의 산업도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종이, 실크,
목화, 및 도자기와 같은 소규모 산업이 발전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전국
적으로 시장을 주변에 끼고 있는 소규모 도시들로서 음식이나 핀 또는 기름과 같은
필수품이 주종을 이루었습니다.
외국인을 혐오하는 현상과 점차 대중화 된 신유교주의의 지적 성찰에 대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명 왕조는 고립의 길을 걷지는 않았습니다. 여타 외부 세계, 특히 일본과의
무역 및 접촉이 행해졌으며, 중국의 상인들은 인도양 전 지역을 개척하였으며, 정 허
(Zheng He)는 동아프리카까지 항해 하였습니다.
농부 출신으로서 중국 유일의 건국자가 된 홍우(Hongwu) 황제는 국가의 기초로 농업
을 장려하였습니다. 이전의 송과 원 왕조 시대에 번성하였던 상업과 무역은 덜 강조
되었으며, 송과 몽골 시대의 신봉건 제도 하에 분배된 토지들은 명의 지배자들에 의해
강탈되었고, 이 토지들은 분할되어 임대되었습니다. 사적인 노예는 금지되었으며, 결과
적으로 영락 황제 사후 독립적인 농민들이 중국 농업의 주류로 등장하였습니다. 이러한
제도들로 인해 이전 정권에서 겪었던 심각한 빈곤이 제거되었습니다. 명 왕조 후기에
접어들면서, 정부의 통제는 줄어들었고, 상업, 무역 등의 민간 산업이 다시 왕성해졌습
니다.
명 왕조는 제국을 통일하고 통치하는 강력하고 복잡한 중앙 집권적 정부를 유지했습니다.
홍우 황제는 "대비서실(Grand Secretariat)"을 운영하여 상소제(memorials, 황제에 대한
청원 및 추천), 황제 칙령, 다양한 보고서 및 세금 기록 등의 막대한 편찬 사업을 계속 하였
으나, 황제의 역할은 점점 독재적인 성격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료주의 때문에
명 정부는 사회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였고, 결국은 쇠퇴하게 됩니다.
영락 황제는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다른 나라들에게 중국에 조공을 받치는
대사를 보내도록 요구하였습니다. 1,500 톤의 배수력과 4개의 돛을 갖춘 범선을 보유한
대규모 해군이 조직되었으며, 백만 명으로 구성된 상비군도 창설되었습니다. 중국 군대
는 베트남을 침공하여 20여 년 동안 점유하였으며, 해군 함대들은 중국해와 인도양을
항해하여 아프리카 동부 해안까지 이르렀습니다. 중국은 동부 모굴리스탄(Moghulistan)
에 대한 영향력을 획득하였고, 아시아의 여러 해상국들은 중국 황제에게 조공을 받치는
사절단을 파견하였습니다. 국내적으로는 대운하를 확장하여 국내 무역을 촉진하였으며,
매년 100,000 톤 이상의 철이 생산되었습니다. 이동식 활자를 이용하여 많은 서적들이
출판되었으며, 베이징의 자금성(Forbidden City) 내 황궁들은 오늘날의 찬란함에 이르렀
습니다. 중국 남부의 잠재력이 개발된 것도 이 기간 동안이며, 새로운 작물이 널리 보급
되었으며 도자기와 직물 산업이 번창하였습니다.
1449년, 에센 타이시는 오리앗(Oriat) 몽골을 이끌고 중국 북부를 침공하였고, 투무
(Tumu)에서 정통(Zhengtong) 황제를 사로잡았습니다. 이후 명 왕조는 북부 국경지대
에서 수세에 몰렸으며, 명의 만리장성을 축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잔존하는 중국
만리장성은 대부분이 명 왕조 시대에 건축되거나 수리된 것으로서, 벽돌과 화강암을
이용한 보강 작업이 더해지고, 망루가 재구성되었으며, 성벽을 따라 대포도 설치되었
습니다.
영락제의 죽음 이후 중국은 바다에서 점차 고립되었으며, 인도양을 통했던 보물 사절단
을 중단되었고 또한 중국인들의 항해를 금지하는 해상법이 도입되었습니다. 대항해
시대 중 유럽의 상인들은 중국과 무역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1521년과 1522년에
중국을 찾았던 포르투갈 상인들은 투엔 문(Tuen Mun)에서 명에 의해 격퇴되었습니다.
해외 무역에 대한 국내 및 외국의 요구는 불법으로 규정되었으며, 지아징(Jiajing) 황제
시대 동안 빈번했던 중국 남부 해안 지역에서 행해졌던 워코우 해적들의 공격은, 광동
(Guangdong)과 푸젠(Fujian) 항의 개방 및 수많은 군사적 압력을 받은 후에야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일본 해적의 급습과 함께 타이완과 필리핀의 피세에(Pisheye)
들의 침입 역시 남부 해안을 황폐화시켰습니다. 1557년 무역을 위한 포르투갈 인들의
마카오 정착이 허용되었으며, 마카오는 1999년까지 포르투갈 인에게 점령당했습니다.
스페인의 필리핀 침공에 이어, 마닐라에서 이루어진 스페인과의 무역으로 인해 멕시코
와 페루산 은이 스페인령 미국으로부터 중국에 대량 수입되었습니다. 네덜란드의 중국
중국해 진출 의도 역시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으며, 네덜란드는 1622년-1624년 기간의
분쟁 결과 펭후 섬에서 쫓겨나 타이완에 강제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대만에 정착하게
된 네덜란드 인들은 1633년 명과 리아오루오에서 전투를 벌였으나 패하였고, 결국 명
나라 멸망 이후인 1662년 충신 콕싱가(Koxinga)에게 항복하였습니다.
1556년 지아징(Jiajing) 황제 시대에는 역사상 가장 참혹한 산시(Shaanxi) 지진으로
인해 830,000 명의 사람들이 죽었습니다.
명 왕조는 1592년-1598 년간 일본의 한국 침략 전쟁에 깊숙이 관여하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일본의 침략 세력은 한국에서 철수하였고, 한국은 조선 왕조로 복귀되어
명의 동맹국이자 조공국으로 남게 됩니다. 명 왕조의 헤게모니 다툼은 명 왕조 자원의
피해를 대가로 유지되었습니다. 만주(Manchuria)에서의 명의 쇠퇴로 인해, 누르하치
(Nurhaci)를 족장으로 하는 만추(Jurchen) 족은 명의 지배를 벗어나 강력하고 통일된
국가로 부상하였으며, 이후 청(Qing) 왕조의 탄생으로 이어집니다. 이들은 쇠약한 한국
을 복속시키고 몽골을 정복하였으며 또한 만리장성 인근까지 그 세력을 확장하게 됩
니다. 명 왕조의 정예군은 샨하이(Shanhai)에 주둔하며 만추 족에 강력하게 대항을
지속하였으나, 이로 인해 내부의 농민 봉기에 대한 압력은 약해졌습니다.
*중국 역사를 배워봅니다(12)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