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중국-러시아 사이의 갈등이 정점에 이르렀을 때, 마오와 주은래(Zhou Enlai)
는 미국과의 관계 설정을 위해 베이징에서 미국 대통령 리차드 닉슨 (Richard Nixon)
을 만났습니다. 같은 해 중화인민공화국(PRC)은 중화민국(ROC)을 대신하여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으로 가입하였습니다.
1976년 마오의 사망으로 인해 권력 투쟁이 있따랐습니다. 주요 4인방(Gang of
Four)은 체포되어 과도한 문화혁명 추진에 대해 비난받았으며, 이 결과 중국의
정치적 소요는 종식되었습니다. 덩 샤오핑(Deng Xiaoping)은 마오가 지명한
후계자 화구오펑(Hua Guofeng) 의장을 책략으로 앞질러 수년간 실질적인 지도
자의 위치를 차지합니다.
덩 샤오핑은 1978 - 1992년 기간 한 번도 당이나 정부의 수반이 되지는 않았으나
중국의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였고, 그의 당내 영향력을 발판으로 중요한 경제 개혁
을 이끌었습니다. 공산당(CCP)은 인민의 일상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점차적으로
약화하였고, 많은 농민이 복수의 토지를 임대받아 인센티브와 농업 생산 증대 효과
를 누릴 수 있도록 인민 공동체를 해체하였습니다. 더하여, 많은 자유 무역지대를
개방하였는데, 선전(Shenzhen)이 가장 성공적이었습니다. 선전은 광동(Guang
dong) 성에 위치하는데, 오늘날까지도 이곳에서는 재산세가 면제됩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중국의 전통적인 계획 경제 시스템이 개방 시장 환경을 갖춘 복합 경제
로의 전환을 시사하며, 일부는 이를 "시장 사회주의라 불렀고, 공산당은 공식적
으로 "중국 고유의 사회주의(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라 불렀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982년 12월 4일 현재의 헌법을 채택하였습니다.
1989년 전 총서기 후 야오방(Hu Yaobang)의 사망은 천안문(Tiananmen) 사태를
촉발하였으며, 학생들과 시민들은 여러 달에 걸쳐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들은 부패
의 척결과 민주적 권리 및 언론 자유를 포함하는 정치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시위 세력은 6월 4일 군대와 장갑차의 투입으로 강제로 진압되었으며, 상당한 인명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 사태는 방송으로 보도되었고, 중국 정부는 세계적인 비난과
제재를 받게 됩니다.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인 장쩌민(Jiang Zemin)과 총리 주롱지
(Zhu Rongji)는 모두 상하이 시장 출신으로서, 천안문 사태 이후 1990년대 중국을
이끌게 됩니다. 장과 주의 10년에 걸친 집권으로, 중국은 1억 5천만 명의 농민을 가난
에서 구출하고 연평균 11.2%의 국내총생산 성장을 유지하는 경제적 성과를 보였습
니다. 중국은 2001년 공식적으로 세계 무역 기구에 가입하였습니다. 영국과 포르투
갈의 식민지로 남아있던 홍콩과 마카오는 각각 1997년과 199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홍콩 및 마카오 특별 자치 구역이 되었습니다.
중국은 국가 개발을 위해 경제 성장이 필수적이었지만, 가파른 경제 성장이 국가의
자원과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걱정하기 시작했습니다. 또 다른 걱정은, 특정
사회 계층이 경제 발전의 이익을 향유하지 못하는 것으로, 도시와 농촌의 격차가 그
일례입니다. 이에 따라, 전 공산당 총서기 겸 주석인 후진타오(Hu Jintao)와 총리
원자바오(Wen Jiabao)의 지휘 아래, 중국은 자원 공평한 분배를 위한 정책을 도입
하였는데, 결과는 2014년까지도 미미했습니다. 경제 발전을 명목으로 4천만 명 이상
의 농민이 그들의 땅을 떠났으며, 이로 인해 2005년 87,000 건의 시위와 폭동이 발생
하였습니다. 중국인 대부분의 생활 수준은 점진적으로 개선되었고 보다 많은 자유가
주어졌으나, 정치적 통제 여전히 심각했고 지방 지역은 가난했습니다.
미국 국방부의 보고에 따르면, 3백만 명의 위구르(Uyghurs) 인과 무슬림 소수 민족이
신장(Xinjiang) 지역에 있는 중국 포로수용소에 억류되어 있으며, 미국의 뉴스는 이를
집단 수용소라 부릅니다. 이 수용소는 시진핑 정부에 의해 2010년대 후반에 설치되었
는데, 인권 보호 기관은 이들 수용소가 2014년 제정된 "인민의 대 테러 전쟁" 정책에
따라 2017년부터 위구르인과 여타 무슬림의 교화에 이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수용
소는 여러 나라와 인권 단체로부터 학대, 강간, 및 고문 심지어 대량 학살 등과 같은
인권 남용 장소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코비드-19를 유발하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SARS-CoV-2가 2019년 후베이성 우한
에서 발생하여 세계적인 유행병으로 퍼져나갔습니다.
* 중국 역사를 배워봅니다 시리즈를 이것으로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