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여름 전 세계가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 더 잦고 강력해진 태풍 등 기후위기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 상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기후 변화 또는 위기가 실제 상황임을 부정하거나 시간이 지나면 다시 이전과 같은 환경으로 돌아갈 거라는 안일함을 보이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왜 아직도 이런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을까요?
기후 변화 거부 심리학이란?
기후 변화 거부 심리학은 기후 변화와 기후 변화의 원인이 인간이라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내용에도 불구하고, 왜 이러한 사실들을 불신하고 받아들이지 않는지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들은 기후 변화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체념하거나 또는 이러한 기후 변화는 기성세대의 무책임함 때문이라는 분노를 보일 뿐, 눈앞에 다가온 현실을 받아들이지 않는 태도를 보입니다. 과연 이런 분노와 절망적인 태도는 어디서, 무엇 때문에 생기는 걸까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몇 가지 심리적 (방해) 요소로는, 시간과 공간 상의 거리, 정치적 신념, 문화적 배경, 제한된 인지, 나이 차, 다른 사람과의 비교, 제한된 행동 및 음모론적 믿음 등이 있는데, 이들 요소가 개별적으로 또는 여러 요소가 복합되어 각 개인의 태도와 신념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기후 변화 거부 심리학의 실제 사례
정치 이데올로기와 기후 회의주의 (Political Ideology and Climate Skepticism)
"세계 환경 변화" 저널에 따르면, 보수적인 정치 견해를 가진 사람이 자유주의적인 정치 견해를 가진 사람보다 기후 변화를 부정하거나 그 심각성을 경시하는 경향이 더 높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념적 차이는 각 개인의 세계관, 가치관 및 인식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며, 따라서 개인에 따라 위험을 받아들이는 정도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기업의 영향력과 잘못된 정보(Misinformation)
일부 산업, 특히 화석 연료 (fossil fuels)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 분야의 회사들은 그들의 재정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기후 변화를 부정하거나 또는 잘못된 정보를 유포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한 때 미국 주식 시장에서 자산 가치 1위에 군림했던 엑슨 모빌(Exxon Mobil)의 경우, 1970년대부터 기후 변화의 위험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정부의 규제를 피하고 자사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기후 과학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는 노력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잘못된 정보의 의도적 배포로 일반 대중은 기후 변화에 대해 혼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미디어 프레이밍(Media Framing)과 대중 인식(Public Perception)
미디어는 그 영향력 만큼이나 대중의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종종 다수의 미디어 매체들이 일반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기후 변화를 논쟁 거리로 제시하면서 기후 회의론자들에게 과도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편향적이고 의도된 왜곡이 기후 변화의 현실에 대한 대중의 혼란과 회의를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기후 변화에 대한 심리적 거리(Psychological Distance)와 무관심(Apathy)
기후 변화는 지리학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거나 또는 나에게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기 때문에 무관심을 유발합니다. 사람은 장기적인 환경 문제보다 즉각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기후 변화 해결의 긴급성은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리게 됩니다.
상기와 같은 요소 외에도, 기후 변화 해결을 위한 막대한 재정 소요, 개인 간의 문화적 가치나 신념의 차이 또는 음모론에 가까운 잘못된 믿음 또는 각국 정부 간의 입장 차이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눈 앞에서 벌어지는 기후 변화 또는 위기 현상을 받아들이지 않거나 수용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게 됩니다.
다행스럽게도, 근래들어 많은 환경 단체나 TV를 포함한 매체들이 북극의 빙하가 녹아 무너지는 장면이나, 혹한과 폭설로 인해 도로가 통제되고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는 현장 또는 극심한 가뭄으로 사막화되어 가는 현장 등을 자주 보도하면서, 기후 변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자연스럽게 높이고 있습니다. 우리 역시 기후 변화에 대한 거부 심리를 거부하고,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을 실천하여 기후 변화를 늦추고 지구 환경을 보전하는 노력에 동참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