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시사 인물 및 역사

세계 1차 대전(5) : 전쟁의 이모 저모

by MYJets 2024. 3. 29.

세계 1차 대전은 역사상 가장 파괴적인 전쟁 중 하나로, 수백만 명의 사상자를 낳았으며 참전 국가들의 운명을 좌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중요한 전투와 사건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들이 전쟁의 결과와 역사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계 1차 대전의 주요 전투

 

마른 전투(The Battle of the Marne, 1914년)

 

세계 1차 대전 초기, 마른 전투는 독일군의 파리 진격을 막아 세운 결정적인 전투였습니다. 연합군은 이 전투를 통해 슈리펜 계획(Schlieffen Plan)을 좌절시키고, 전쟁이 장기적인 소모전으로 변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슈리펜 계획(Schlieffen Plan)은 세계 1차 대전 전에 독일 제국이 수립한 전략으로, 서부 전선에서 먼저 프랑스를 공격하고 승리한 뒤 동부 전선에서 러시아 군대와 싸우려던 것입니다. 그러나 벨기에를 통한 독일군의 진격은 예상보다 큰 저항에 부딪혔고, 벨기에를 지키려 했던 영국의 참전을 불러와 결국 실패로 끝났습니다.

 

세계 1차 대전 징집 공고
세계 1차 대전 징집 공고

 

베르됭 전투(The Battle of Verdun, 1916년)

 

베르됭 전투는 세계 1차 대전에서 가장 길고 피비린내 나는 독일과 프랑스 간의 치열한 대결이었습니다. 이 전투는 양측 모두에게 엄청난 인명 손실을 초래했으며, 전쟁의 소모적 성격을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입니다.

 

솜 전투(The Battle of the Somme, 1916년)

 

솜 전투는 연합군이 독일군의 방어선을 뚫고 전세를 역전시키려 한 대규모 공세였습니다. 이 전투는 탱크가 처음으로 사용된 전투로 유명하며, 전쟁의 장기화와 양측의 큰 손실을 상징하는 전투입니다.

 

러시아 혁명과 별도 평화(The Russian Revolution and Separate Peace, 1917-1918년)

 

러시아에서 발생한 혁명으로 러시아는 전쟁에서 이탈하게 만들었고, 볼셰비키 정부는 독일과 별도로 평화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독일은 동부 전선의 군대를 서부 전선으로 이동할 수 있었지만, 전쟁의 결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백일 공세(The Hundred Days Offensive, 1918년)

 

세계 1차 대전의 마지막 단계에서 연합군은 '백일 공세'라고 불리는 지속적인 공격을 통해 결정적인 승기를 잡게됩니다. 이 공세로 연합군은 독일군의 방어선을 관통하고 독일 본토로 진격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전쟁의 종결을 앞당기게 됩니다.

 

 

 

세계 1차 대전의 이모저모

 

화학 무기(Chemical Weapons) 사용

 

독일 과학자들이 염소(chlorine)를 무기화하는 방법을 개발한 후, 독일군은 제2차 이푸르 전투(Battle of Ypres) 동안 최초로 화학 무기를 성공적으로 배치했습니다. 독일이 처음 사용한 화학 무기는, 이후 모든 교전국이 사용하였으며 약 130만 명의 사상자를 냈지만 상대적으로 사망자 수는 90,000 명으로 적었습니다.

 

전쟁에서 화학 무기를 사용하는 것은 질식성 가스에 관한 1899년 헤이그 선언(Hague Declaration)과 화학 무기의 사용을 금지한 1907년 육상전에 관한 헤이그 협약(Hague Convention)을 직접적으로 위반한 것입니다.

 

오스만 제국의 대량 학살(Genocides by the Ottoman Empire)

 

오스만 제국은 전쟁이 시작될 때 아르메니아인에 대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학살을 자행했으며, 아르메니아인의 저항 행위를 반란으로 묘사하여 그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려 조작했습니다. 약 150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것으로 추산되는 이 행위에 대하여, 터키 정부는 현재까지도 사망자들이 인종 간 싸움, 기근, 질병으로 발생한 희생자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쟁 포로(Prisoners of war)

 

세계 1차 대전 중 약 800만 명의 군인이 포로수용소에 갇혔는데, 참전국들은 전쟁 포로의 공정한 대우에 관한 헤이그 협약을 준수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다행히도 포로의 생존율은 전선의 전투원보다는 훨씬 높았습니다.

 

 

세계 1차 대전 구축함
세계 1차 대전 구축함

 

기술(Technology)

 

세계 1차 대전은 발달된 기술을 적용하여 군대를 현대화시켰으며 1917년 말에는 전화, 무선 통신, 장갑차, 탱크 및 항공기까지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적기를 격추하기 위해 대공포와 전투기가 개발되었으며, 독일과 영국은 전략 폭격기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처음으로 항공모함이 사용되었습니다.